엘리어트 파동 개요 및 활용(1)
엘리어트 파동은 트레이더가 금융시장을 분석하고 예측하는 데 사용하는 기술적 분석 도구입니다. 파동의 이론은 1930년대 랄프 넬슨 엘리어트에 의해 개발되었습니다. 이 글에서 개요 및 활용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엘리어트 파동의 개요
엘리엇의 주장에 따르면 주식 시장은 긴 시간으로 볼 때 항상 일련의 파동으로 움직이며 각 파동은 반복된 패턴을 보입니다. 이 패턴은 시장의 자연스러운 리듬을 기반으로 하며 향후 가격 변동을 예측하는 데 사용할 수 있다고 주장했고 실제 그는 놀라운 수익율로 그의 이론을 증명했습니다.
임펄스 5파와 조정 3파
엘리어트 파동은 임펄스와 조정이라는 두 가지 주요 파동이 있습니다. 임펄스는 추세 방향으로 강력히 움직이는 큰 파동으로 5개의 작은 파동으로 구성됩니다. 조정파는 추세와 반대로 움직이는 작은 파동으로 3개의 작은 파동으로 구성됩니다.
임펄스 파동을 구성하는 5개의 파동은 1, 2, 3, 4, 5로 표시됩니다. 파동 1, 3, 5는 임펄스 파동이고 파동 2와 4는 조정 파동입니다. 조정파를 구성하는 세 파동은 A, B, C로 표시됩니다.
트레이더는 엘리엇 파동을 사용하여 시장의 잠재적 진입 및 청산 지점을 식별합니다. 임펄스 파동이 확인되면 트레이더는 더 낮은 가격에 시장에 진입하기 위해 조정을 찾습니다. 조정 파동이 확인되면 트레이더는 더 높은 가격에 시장에 진입하기 위해 조정의 끝을 찾습니다. 이게 무척 어렵습니다만 매억남님 말에 따르면 미친듯이 보고 쪼개 보면 파동이 보이기 시작한다고 합니다.
엘리엇 파동 패턴에는 동기 파동, 대각선 파동, 조정 파동의 세 가지 주요 유형이 있습니다. 기본 파동은 추세 방향으로 움직이는 큰 파동으로 5개의 작은 파동으로 구성됩니다. 대각선 추세의 다이아고날 파동은 대각선 패턴으로 움직이는 특수한 유형의 동기 파동입니다. 조정파는 추세와 반대로 움직이는 작은 파동으로 3개의 작은 파동으로 구성됩니다.
상승파는 1, 2, 3, 4, 5로 표시된 다섯 가지 파동 패턴으로 더 분류됩니다. 세 가지 파동 조정 패턴은 A, B, C로 표시됩니다.
대각선 파동은 선행 대각선과 종단 대각선의 두 가지 패턴으로 더 분류됩니다. 선행 대각선은 추세 방향으로 움직이며 5개의 파동으로 구성됩니다. 종단 대각선은 추세와 반대로 움직이며 3개의 파동으로 구성됩니다.
어렵지만 유용한 최고의 기술적 분석 도구
결론적으로 엘리엇 파동은 트레이더가 금융 시장을 분석하고 예측하는 데 사용하는 매우 인기 있는 그러나 무척 어려운 기술적 분석 도구입니다. 엘리엇 파동은 시장의 자연스러운 리듬을 기반으로 하며 향후 가격 변동을 예측하는 데 사용할 수 있습니다.
엘리엇 파동은 주식, 통화, 원자재, 암호화폐 등 다양한 금융 시장에 적용할 수 있습니다. 엘리엇 파동은 이동평균, 차트 패턴 등 다른 기술적 분석 도구와 함께 사용하면 가격 예측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습니다.
그러나 엘리엇 파동 분석은 주관적이며 해석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해야 합니다. 트레이더마다 파동 식별 및 라벨링에 대해 다른 의견을 가질 수 있으며, 이로 인해 가격 예측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또한 엘리엇 파동 분석은 완벽하지 않으며 잘못된 신호를 생성할 수 있습니다. 트레이더는 손절 주문과 같은 다른 위험 관리 기법을 사용하여 예상치 못한 시장 움직임에 대비해 손실을 제한해야 합니다.
그리고 작전주와 같은 소수가 쉽게 움직일 수 있는 종목에는 전혀 유효하지 않다고 볼 수 있으며 되려 페이크로 파동을 만들며 차트 분석자들을 유인하기도 합니다.
결론적으로 엘리엇 파동 이론은 트레이더가 금융시장의 미래 가격 변동을 예측하는 데 도움이 되는 유용한 기술적 분석 도구입니다. 이는 시장의 자연스러운 리듬을 기반으로 하며 다양한 금융상품에 적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트레이더는 성공 확률을 높이기 위해 다른 차트 분석 도구 및 위험 관리 기법과 함께 사용해야 합니다.
'절세-지원-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볼린저 밴드는 무엇인가? 사용법과 한계 (0) | 2023.02.13 |
---|---|
다우 이론의 적용법과 한계 (0) | 2023.02.13 |
다우 이론의 역사와 원리 (0) | 2023.02.13 |
차트 분석의 기초, 기초 보조 지표의 이해 (1) (0) | 2023.02.12 |
엘리엇 파동의 종류와 이해 (2) (0) | 2023.02.12 |
댓글